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환급금 찾아주기 통합서비스 이용방법

by meta-times 2022. 10. 6.
반응형

미환급금 찾아주기 통합서비스 썸네일
미환급금 찾아주기 통합서비스 썸네일

 

본 포스팅은 미환급금 찾아주기 통합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다룹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미환급금이란 국세 지방세 건강보험 미환급금과 같이 국가에 납부를 하는 금액에 대해서 환급액이 발생했을 때 정부에서 돌려주지 않은 금액을 말합니다. 그런데 이거를 국민들은 잘 몰라요 그러다 보니까 정부에서 국민들이 낸 세금을 다시 돌려주기 위해서 모든 미환급금에 대한 통합 신청을 한꺼번에 할 수 있는 사이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래는 미환급금 종류에 따라서 각 사이트에 들어가서 신청을 하고 환급을 받았었어야 했는데 이제는 그럴 필요가 없는 거죠. 다만 환급 신청이 불가능한 항목에 대해서는 각 항목별 주 관장하는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개별 신청을 해야 됩니다.

 

신청 방법

우리나라 민원 대표 사이트인 정부 24에 들어가시면 미환급금 찾기 신청하는 메뉴가 있습니다. 거기를 통해서 신청을 하시면 되고 아래 경로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환급 신청이 가능한 시간대는 오전 7시에서 오후 11시까지 가능합니다. 그런데 이제 조회만 가능하고 환급 자체가 안 되는 것이 있다고 방금 말씀드렸잖아요.  그게 대표적으로 지방세나 유료 방송 kbs 유료방송 그리고 통신 비용에 대한 그런 환급금까지는 조회가 가능한 정도만 활용하실 수밖에 없고 실제로 환급을 하려면 각 해당 홈페이지 또는 문의 전화를 통해서 환급을 받으셔야 됩니다.

  • 정부 24 홈페이지 → 서비스 → e하나로 민원 → 미환급금 찾기 신청 → 통합조회 → 유무 확인 결과 → 상세내역 조회 → 환급신청 →신청 완료

 

어떤 계좌로 환급을 받아야 되나요?

환급받아야 될 계좌는 개인이나 또는 개인 사업자인 경우에 본인 명의 계좌를 사용해야 되고 법인이신 경우에는 법인 명의 계좌를 사용하면 됩니다. 조회가 가능한 것과 환급까지도 가능한 것을 어떻게 구분할까 위에서 얘기한 대로 정부 24 경로를 통해서 들어가 보시면 동그라미 세모 네모로 이제 조회만 가능한지 환급만 가능한지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아까 지방세 환급금 같은 경우에는 조회만 가능하다고 했는데 조회만 가능한 것은 노란색 동그라미로만 표기가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환급까지 가능하면 동그라미에다가 초록색 세모까지도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지금까지 미환급금 찾아주기 통합 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정보 24 홈페이지를 통해서 알아보시길 바라겠고 특히 조회만 가능한 경우에는 결국 홈페이지로 직접 들어가야 되기 때문에 통신비나 지방세 같은 경우에는 각 사이트를 들어가셔서 상세 내용을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통신비 같은 경우에는 스마트 초이스 사이트에서 주관을 하고 있기 때문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휴면 계좌 돈 찾기 3단계
OK캐시백 현금 전환 방법 3단계
카드 포인트 통합조회 계좌입금 방법 3단계
반응형

댓글